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유아기 발달특성: 도덕성과 자기통제의 형성

by lilimom 2024. 12. 9.

 

영유아기는 인간 발달의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신체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도 급격한 발달을 겪습니다. 특히 도덕성과 자기통제 능력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영유아기 발달특성 중 도덕성, 자기중심성, 역할수용능력, 자기통제능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도덕성 발달과 자기중심성

영유아기 아이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자기중심성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의 관점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며,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기 어려워합니다. 이는 도덕성 발달 초기 단계의 특징으로,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따르면 '타율적 도덕성' 단계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점차 성장하면서 아이들은 '자율적 도덕성' 단계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역할수용능력의 발달입니다. 역할수용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아이들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됩니다.


자기통제능력의 중요성

자기통제능력은 영유아기에 발달하기 시작하는 또 다른 중요한 능력입니다. 이는 자신의 욕구나 충동을 조절하고 상황에 맞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자기통제능력이 잘 발달한 아이들은 학업 성취도가 높고,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삶의 여러 영역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교육 방법: 강화와 처벌

영유아기 아이들의 도덕성과 자기통제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육 방법이 사용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강화와 처벌입니다.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칭찬이나 보상을 통해 그 행동을 더 자주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을 잘 정리했을 때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그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반면 처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그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처벌은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과도한 처벌은 오히려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고 반항심을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애정철회와 권력행사

애정철회와 권력행사는 부모나 교육자가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애정철회는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일시적으로 사랑과 관심을 거두는 것을 말합니다. 권력행사는 부모나 교육자의 권위를 이용해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장기적으로 볼 때 아이의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신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왜 그런 행동이 잘못되었는지 설명하고,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지 이해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논리적 추론의 중요성

영유아기 아이들의 도덕성과 자기통제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 논리적 추론 능력의 발달도 중요합니다. 아이들에게 단순히 "이렇게 하면 안 돼"라고 말하는 것보다,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를 때리면 안 돼"라고 말하는 것보다 "친구를 때리면 친구가 아프고 슬퍼할 거야. 너도 누군가에게 맞으면 아프고 슬플 거야. 그러니까 우리는 서로를 때리지 말아야 해"라고 설명하는 것이 아이의 이해를 돕고 도덕성 발달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는 인간 발달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형성된 도덕성과 자기통제능력은 아이의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와 교육자들은 아이들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교육 방법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도와야 합니다. 강화와 처벌, 논리적 설명 등 다양한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아이들의 도덕성과 자기통제능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